당뇨발 혈관치료
당뇨발 혈관치료 종류
당뇨발 혈관치료는 약물을 이용해 혈류를 개선해 주는 약물 치료와
수술 및 시술로 폐쇄된 동맥을 개통하는 혈관개통술이 있습니다.
Scroll →
약물 치료 | 혈관개통술 | |
---|---|---|
치료 방법 | ||
치료 종류 | 혈관확장제, 항혈소판제, 혈류개선제 등 | 풍선확장술, 스텐트삽입술, 동맥우회술 등 |
치료 목적 | 병의 진행을 막고 증상을 개선하기 위함 | 약으로 치료되지 않을 시 근본적인 원인을 수술로 개선 |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당뇨병 환자의 발 상태
발에 상처가 생긴 경우 (크기 불문)
물집, 티눈, 굳은살에서 분비물 발생
발톱 주위에 발적, 부종 관찰
발, 다리 부위에 검푸른색 관찰
통증에 대한 감각 감소
발 부위의 열감, 발적
38도 이상 고열
72시간 지속되는 통증
발 부위의 경련, 쑤심
경피적 혈관 성형술 과정
CT를 이용해 좁아진 혈관 확인
혈관 조영장치로 모니터링하며 수술 진행
부분 마취하에 동맥으로 관 삽입
풍선관, 스텐트 등 미세 의료 기구 삽입
막힌 혈관을 뚫고 쌓인 노폐물을 제거
관을 제거하고 동맥을 압박하여 지혈
당뇨발은 관리가 필수입니다.
당뇨발은 조금만 잘못 관리해도 회복할 수 없을 정도로 상처가 깊어져 절단에까지 이를 수 있어 평소 철저한 관리가 중요합니다.
따라서,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하기 위해서 매일 발의 상태를 점검해야 하며 발 위생과 보호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여야 합니다.
아래 지침을 참고하여 당뇨발을 관리하시길 권하여 드립니다.
일상생활에서
발을 매일 잘 살펴봅니다.
(거울 사용)
발을 매일 미지근한 물에
잘 씻고 말립니다.
씻은 후 발이 건조하지 않게
보습제를 바릅니다.
발톱은 너무 짧지 않게
일직선으로 자릅니다.
발의 보호를 위해
상처 예방을 위해 맨발로
다니지 않습니다.
부드러운 순면, 순모 양말을
매일 갈아 신습니다.
발가락 사이가 끼는 샌들이나
슬리퍼 착용은 삼갑니다.
앞이 좁은 구두나 굽이 높은
구두는 절대로 피합니다.
하체에 압박을 가하는 스타킹,
벨트, 신발은 피합니다.
치료가 필요할 때
티눈 약 등을 함부로 바르지
않습니다.
굳은살을 혼자서 떼어내지
않습니다.
무좀이 있으면 반드시 병원에서
치료를 받습니다.
작은 상처가 생기면 병원에서
치료를 받습니다.
도담외과는
환자를 먼저 생각합니다.